본문 바로가기
미술 예술

서양미술사 화려함의 극치 로코코 시대

by 하늘이5 2023. 8. 25.
반응형


서론

프랑수아 부셰 (마담 베르게레)

로코코(Rococo)는 프랑스 파리의 귀족층을 중심으로 화려한 예술의 경향을 말한다. 17세기 바로크 미술과 19세기 후반의 신고전주의 미술 사이에 발전한 것으로 조개껍데기 모양의 장식이라는 뜻이다. 신고전주의 미술가들의 조롱으로 이름 붙여지게 되었다. 다음은 로코코미술의 주요 특징이다.
로코코미술은 유연한 선들의 특징으로 곡선적이고 화려한 디자인에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디자인은 침대, 가구, 조각품, 그림 등에서 잘 나타난다. 또한 자연의 소재와 꽃무늬, 나비, 조류 등 다양한 식물과 동물 등을 모티프를 활용하므로 상쾌하고 활기가 넘친다.
그리고 주로 연한 팔레트를 사용하는데, 연한 핑크, 민트, 그린, 연보라 등을 중심으로 파스텔 톤의 다양한 색상을 활용한다. 이러한 색상은 작품의 경쾌한 분위기를 강조한다.


본론

로코코 시대 대표적인 작가
로코코미술은 주로 프랑스를 중심으로 유행하였으며, 루이 15세와 루이 16세 시대에 최고점을 찍었다.
1) 장 안투안 와토로(1684-1721)의 작품 <키테라 섬으로의 순례>는 왕립 아카데미에 출품한 작품이다. 페트 갈랑트 회화의 창시자로 색과 선이 융합되고 섬세하며 우아한 작품을 선보인다. 주로 세련된 옷을 입은 남녀들이 유희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 작품은 따스하고 황금빛이 넘치는 그림이다. 키테라섬은 상상 속 사랑의 섬이다.

2) 프랑수아 부셰(1703-1770) 로코코 미술의 전성기를 대표하는 화가로 <디아나의 목욕 1742년> 살롱에 출품한 작품으로 로마 신화 속 달의 여신 아르테미스이다. 다산과 풍요상징이자 수렵과 순결의 상징인 디아나와 님프를 그린 신화를 주제로 그린 그림이다. 투명하게 빛나는 누드는 관능미를 보여준다

3) 장 오노레 프라고나르(1732-1806)는 사랑, 자연 등을 주제로 다양한 풍경을 그렸다. 그의 대표작 <그네>는 아룸다우면서 외설적이기 하다. 이 작품은 한 귀족여성이 화려한 드레스를 입고 그네를 타는 모습으로 풍부한 색채와 디테일한 장식이 잘 표현된 작품이다.

4) 장바티스트시메옹 샤르댕(1699-1799)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정물을 그렸다.
<가오리 1728>그림으로 왕립 회화조각 아카데미 회원이 된다. 그 당시 평범한 집에서 음식을 만들려는듯한 풍경이다. 가오리의 디테일 표현과 고양이의 세밀한 표현이 두드러진다.

5) 알렌산더 로슬린(1718-1793)스웨덴 출신으로 뛰어난 심리 묘사와 보석과 의복의 화려함과 질감 월등하게 표현한 초상 화가이다. 그의 작품으로 <베일을 쓴 여인은 1768>유명하다.

6)  로코코 시대 여류회화 작가
엘리자베스 루이 비제 르 브룅(1755-1842)은 이 당시 초상 화가로 이름을 떨친 여류화가이다. 프랑스의 궁정화가로서 루이 16세 비운의 왕비 <마리 앙투와네트와 그녀의 아이들의 1787>을 그렸다.
왕비의 인간적인 면모와 가정적인 모습을 잘 표현하였다.
 


결론

로코코 작품은 세부적인 장식과 정교한 디테일을 강조한다. 작품의 여러 부분에 걸쳐 복잡한 장식이 사용되어 더욱 화려하고 사치스러워 보인다. 직선보다는 곡선적인 라인이 많아 비대칭적인 구성이 두드러진다. 이 시대의 작품은 부드럽고 유동적이다. 로코코 작품은 사교적인 모티프와 주제를 다루는 경우가 많다. 아름다운 풍경, 상류층의 생활, 사랑 이야기 등이 주를 이룬다 하지만 프랑스 대혁명으로 막을 내린다.


반응형